반응형
튜플 두개를 넘기면 거리 계산을 해주는 함수를 distance로 정의해서 참조하자.
일단 거리를 계산해서 최소거리를 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런데 그 최소거리가 누구의 것인지 알려면, 반드시 key-value 쌍의 데이터 구조여야 한다.
따라서 dict 구조를 사용했다.
from math import sqrt
def distance(store1, store2):
return sqrt((store1[0] - store2[0]) ** 2 + (store1[1] - store2[1]) ** 2)
def closest_pair(coordinates):
container = {}
def find_value(x):
return container[x]
for i in range(len(coordinates)):
for j in range(i+1, len(coordinates)):
dist = distance(coordinates[i], coordinates[j])
container[f'{i},{j}'] = dist
key_min = min(container.keys(), key = find_value)
return [coordinates[int(key_min[0])],coordinates[int(key_min[-1])]]
그런데 dict쌍을 쓰지 않고 temp 리스트를 만들어 그 값을 업데이트 하는 방식도 존재했다..!
from math import sqrt
def distance(store1, store2):
return sqrt((store1[0] - store2[0]) ** 2 + (store1[1] - store2[1]) ** 2)
def closest_pair(coordinates):
# 현재까지 본 가장 가까운 두 매장
pair = [coordinates[0], coordinates[1]]
for i in range(len(coordinates) - 1):
for j in range(i + 1, len(coordinates)):
store1, store2 = coordinates[i], coordinates[j]
# 더 가까운 두 매장을 찾으면 pair 업데이트
if distance(pair[0], pair[1]) > distance(store1, store2):
pair = [store1, store2]
return pair
나의 방식 -> 일단 냅다 다 구해놓고, 나중에 min 함수를 이용
업데이트 방식 -> 일단 기준 값을 정해놓고, 그 값과 다른 값을 비교해가면서 업데이트
아래의 업데이트 방식이 좀 더 빠를 것같은데...? 아닌거같기도하고... 흠..
근데 둘다 어차피 O(n^2) 이니까 상관 없겠다!
반응형
'알고리즘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1-20 투자구간에서 최대수익 (0) | 2021.11.20 |
---|---|
2021-10-09 빈 공간에 물 채우기 반영환 (0) | 2021.10.11 |
2021-10-09 두 뭉치의 곱의 최댓값 반영환 (0) | 2021.10.11 |
2021-10-09 하노이탑 반영환 (0) | 2021.10.11 |
2021-10-07 이진탐색 재귀 반영환 (0) | 2021.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