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기록장 블로그

만나서 반가워 !
이거 좋아해?

10. 파이썬 빠른 입출력
·
Language/Python
map()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한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한다!(이전에 map 데이터 구조라 했는데 그게 아니였다..!) map은 리스트의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주는 함수이다(map은 원본 리스트를 변경하지 않고 새 리스트를 생성!) 예를 들어 실수가 저장된 리스트가 있을 때 모든 요소를 정수로 변환하려면? a = [1.2, 2.5, 3.7, 4.6]for i in range(len(a)): a[i] = int(a[i])  map 함수를 사용하는데 방법은 아래와 같다 a = [1.2, 2.5, 3.7, 4.6]a = list(map(int, a))지금까지 리스트에 대해서 map을 사용했는데, map은 모든 iterable한 객체를 넣을 수 있다! 여러 개의 변수를 담아내려면?튜플처럼 사용하면..
9. 파이썬 상호작용
·
Language/Python
지금까지 우리는 개발자가 쓴 코드를 통해서만 실행되는 파이썬 코드들을 살펴보았다..! 그런데! 개발자선에서 끝나지 않고, 사용자와 소통하면서 코드를 진행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리고 그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의견을 파일로 읽어올 수 있을까!? 오늘은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자..!  INPUT() 함수파이썬은 콘솔창에서 input() 함수를 이용해서 값을 받아서 문자열로 리턴해준다.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이름을 입력하세요:콘솔창에서 사용자가 어떤 값을 입력할지 알려주기 위해 input() 함수는 파라미터로 문자열을 받는다. 리턴 값은 str이므로 꼭 데이터 연산시 int() 든 float() 이든 랩핑함수를 사용해주어야 한다. int(input(~~)) 시 ..
8. 파이썬 모듈
·
Language/Python
앞서 우리는 함수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만약에 우리가 실행하고자 하는 파일 안에 사용할 함수가 많아서 일일이 같은 파일 내부에서 선언했을 때, 어디까지가 함수정의부분이고... 어디까지가 실행부분인지 헷갈릴 경우가 많을거다!따라서 우리는 함수선언 부분과 실행 부분을 분리하고 싶은데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게 파이썬의 모듈 개념이다! 천천히 알아보자~!파이썬 모듈한 파일에.. 함수도 있고.. 실행 코드도 있으면... 많이 더러울거야 그치? 사칙연산 함수만 모아놓은 파일이 있다고 하자. def add(num1, num2): return num1 + num2 def subtract(num1, num2): return num1 - num2 def multiply(num1, num2): return n..
7. 파이썬 문자열
·
Language/Python
대대로 문자열은 리스트와 비슷한 구석이 많았다... 자바의 스트림.. C의 char 타입...문자열을 리스트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해 왔기에 서로 호환되는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그런데!! 차이점도 존재한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Aliasing가명 혹은 가짜이름표라 불리는 alias는 메모리 참조 문제때문에 일어난다.갑자기 왜 문자열보다가 이게 나오냐고?  문자열을 다루려면 메모리 개념을 조금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x= 5 y = x y = 3 print(x) #5 print(y) #3위의 코드와 같이 y에 x를 할당하고, y의 값을 변경해도, x의 값이 변하지 않는다. x= [2,3,5,7,11] y = x y[2] = 4 print(x) #[2,3,4,7,11]prin..
6. 파이썬 딕셔너리
·
Language/Python
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는 것은 리스트뿐만이 아니다..! 예를들어 1반에 있는 학생 화니를 저장하고 싶다면?1반 = "화니" 이런 식으로 변수에 할당해도 되지만 student = { "1반" : "화니"}이런식으로 1대1 대응을 시켜서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오늘은 딕셔너리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딕셔너리딕셔너리 자료형은 말 그대로 사전형 자료형이다.우리가 영어사전을 보면 단어와 뜻이 매칭되어서 쓰여있는데, 단어 = key , 뜻 = value 로 각각 대응된다고 보면 된다. 딕셔너리 자료형 = key - value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   딕셔너리 활용하기 my_dic = { 5: 25, 2: 4, 3: 9 } print(type(my_dic)) #  값 조회하기my_dic[ke..
5. 파이썬 for 문
·
Language/Python
앞서 제어문에서 while 반복문을 알아보았다. 항상 말하지만 파이썬은 리스트를 다루는 도구들이 잘 발달되어 있어서데이터 분석에 많이 쓰인다! 오늘 알아볼 for문은 반복문을 list 개념을 이용해 반복하는 도구이다!  While VS For상황에 따라서 while이 더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고, for이 더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다. 보통 while문은 종료 조건을 확실히 알 때, for문은 반복 횟수를 확실히 알 때 사용한다.다음 예시를 살펴보자. my_list = [2,3,4,5,6] for number in my_list: print(number)my_list = [2, 3, 4, 5, 6]i = 0 while i 이 케이스에서는, 종료 조건보다 반복 횟수를 더 확실히 알고 있기에, for..
4. 파이썬 리스트
·
Language/Python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과연 얼마나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다루게 될까...? 그리고 그때 과연 우리는 변수 하나에 하나의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처리해 낼 수 있을까...?  다들 알겠지만 그럴 순 없다!  변수 하나에는 하나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메모리적으로도, 우리가 코딩을 하기에도, 버겁다...! 그래서 존재하는 것이 리스트(LIST)이다..!리스트를 더 잘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내장 함수들이 파이썬이 많이 지원하기에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파이썬을 많이들 사용한다고들 한다.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리스트리스트는 다시 말하면 배열이다. 배열은 데이터들을 한 곳에 모아둔 것이라고 보면 될 것같다.numbers = [2, 3, 4, 5, 6, 7]strings = ["윤수", "영훈..
3. 파이썬 제어문
·
Language/Python
우리가 컴퓨터를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컴퓨터는 단순히 계산기인 것일까? 우리가 매일 컴퓨터로 게임을 하고 유튜브를 보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유는 컴퓨터가 여러 명령들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코드를 만들어 주는 것이 바로 제어문이다!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반복적인 일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피곤해 한다. 지쳐서 중간에 포기하기도 하고 말이야...하지만! 컴퓨터는 지루해하지도 않으며, 피곤해하지 않고 반복적인 일을 아주 빠르게 처리한다! 과연 파이썬에서 어떤 기능이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일까? 차근차근 알아보장~!  While 문법while 문법은 말 그대로 언제까지~ 무언가를~ 반복하는 것이다.방금 내가 말한 것에 while 문의 모든 내용이 있다. 1. 언제까지~ :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