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기록장 블로그

만나서 반가워 !
이거 좋아해?

API First Design
·
원론/MSA
API First Desgin 은 MSA 설계를 진행하며 서비스를 어떤 기준으로 나눌 것인가? 에서 시작해 각 서비스들이 어떤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서비스의 제공 API에 따라 크기나 트랜젝션 범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API를 우선적으로 디자인 하라는 MSA 모델링 관점에서 중요한 내용이다.API First Design이란?협업하는 개발 프로세스에서 API를 첫 번째 우선 순위로 가져가는 것 좋은 설계를 하기 위해서는 개발 팀의 아키텍처를 지속적으로 살펴야하며 클린코드를 짜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릴리즈가 반복될 수록 코드의 양이 많이지고, API의 수도 늘어난다.이 상황에서 클라이언트도 늘어난다면 우리는 더 많은 API를 필요로하게 된다.그렇기 때문에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변경 사항이 생기고 백로..
MSA 서비스 분리
·
원론/MSA
Q. 서비스를 어떻게 나누었나?기획 단계에서 유저 스토리를 작성했습니다.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한 요구사항서를 작성한 것인데 이에 따라 스토리 보드를 그려가며 모놀리딕한 형식으로 서비스 플로우를 구성했습니다.이슈 넘버로 기능을 명시했고 플로우가 끊기는 부분으로 덩치를 나누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저희 팀은 후보 서비스 도출을 진행했습니다. 해당 플로우를 바탕으로 와이어프레임을 제작했습니다. 와이어 프레임을 제작해나가면서 사용자 관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서비스 레벨로 분리되는 부분들이 보였습니다. 분리 기준은 한 서비스의 장애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운용이 가능한가? 서비스 간 분산 트렌젝션을 진행할 때 데이터간 일관성/정합성에 큰 무리가 가지 않는가? 로 정했습니다.도메인 친화적으로 서비스 ..
MSA 모델링
·
원론/MSA
Top - Down Approach설계의 목적과 분석부터 시작한다.Discover 단계MSA 설계와 프로토타이핑을 진행한다.Delivery 단계API 설계어플리케이션 분산 설계마이크로 서비스 개발CI/CD 테스트마이크로 서비스 테스트CI/CD를 제외한 4가지를 반복적으로 진행한다.Bottom-Up Approach일반적인 회사에서는 이 방식을 사용한다.현행 시스템에 대한 분석부터 시작한다.Delivery 단계API 설계어플리케이션 분산 설계마이크로 서비스 개발 -> 기존 서비스 리팩토링 단계CI/CD 테스트마이크로 서비스 테스트DevOps 단계 추가서비스 모델링분석후보 서비스 도출비지니스 도메인 분석을 통한 후보 서비스 식별후보 서비스 평가 항목신속하고 독립적인 배포가 가능한가?트랜잭션의 폭증에 스케일 아..
MSA 개요
·
원론/MSA
MSA의 정의MSA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관점이 존재한다.서비스 크기별로 정의할 수도 있고 운영 방식으로도 정의할 수 있고 데이터 참조 관계로도 정의할 수 있다.서비스 크기별로는 하나의 프로젝트로 관리되는 기존 모놀리딕 방식의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확장/배포가 가능한 마이크로 서비스로 분해해 운영하는 것이 MSA다 라고 할 수 있다.운영 방식으로는 각 회사의 부서별로 서비스를 담당하며 여러 서비스들과 통신과 데이터 관리를 진행하는데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예로 결제 서비스가 다운됐다 하더라도 회원가입 서비스는 진행 가능한 것처럼. 이런 식으로 운영을 서비스별로 잘게 나눠서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것이 MSA라고 할 수 있다.데이터 참조 관계로는 복잡한 하나의 큰 데이터 베이스에서 각 테이블별로..